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 복원에 앞장서는 잭슨빌 동물원의 놀라운 노력

by 코스모스S2 2025. 8. 1.

푸에르토리코-두꺼비-복원-잭슨빌-동물원1
잭슨빌 동물원 두꺼비

1. 멸종 위기 양서류를 위한 특별한 프로젝트

 

잭슨빌 동물원과 식물원은 멸종 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를 위한 복원 프로젝트는 전 세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성공적인 사례입니다.

 

2025년 한 해 동안 이 동물원은 무려 2만 4천 마리 이상의 두꺼비 올챙이를 번식시켜 푸에르토리코에 방사했습니다.

 

2.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란

 

이 두꺼비는 푸에르토리코에서만 서식하는 토착종으로,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사포 콘초’로 불립니다.

 

원래는 버진 아일랜드와 푸에르토리코 양쪽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푸에르토리코에서만 남아 있는 멸종 위기종입니다.

 

작은 몸집과 뾰족한 머리 뼈, 울퉁불퉁한 피부, 황금빛 눈이 특징입니다.

 

3. 낮에는 숨어 지내는 야행성 생물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는 야행성으로, 낮 동안에는 땅속이나 동물의 굴, 거미 둥지 등에 숨어 지냅니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에 잘 띄지 않지만, 번식기가 되면 물가 주변에서 활동량이 늘어나며 관찰되기도 합니다.

 

4. 잭슨빌 동물원의 번식 및 방사 시스템

 

잭슨빌 동물원은 두꺼비의 자연 서식 환경을 인공적으로 정교하게 재현하여 번식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온도, 습도, 빛의 주기 등 모든 조건을 조절해 안정적인 번식 환경을 만들고, 자란 올챙이들은 푸에르토리코로 보내집니다.

 

5. 어떤 먹이를 먹고 자라는가

 

성체 두꺼비는 주로 곤충, 거미, 기타 작은 무척추동물을 먹으며 생태계 내에서 해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올챙이 단계에서는 조류를 먹고, 때로는 죽은 곤충이나 다른 올챙이도 섭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푸에르토리코-두꺼비-복원-잭슨빌-동물원2
잭슨빌 동무원 올챙이

6. 한때 멸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생물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는 196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1967년, 푸에르토리코 북부에서 극적으로 다시 발견되면서 보존 프로젝트가 시작됐습니다.

 

이후 세계 각국의 동물원과 협력하여 번식 및 복원이 진행되며 생존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7. 놀라운 성과를 보인 잭슨빌 동물원

 

잭슨빌 동물원은 2011년부터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 협회와 협력하고 있습니다.

 

2025년까지 총 5만 1천 마리가 넘는 두꺼비 올챙이를 푸에르토리코에 방사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성과는 보존 활동이 실질적인 생태계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8. 생태계에 주는 긍정적 영향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는 해당 지역의 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하는 지표 종 중 하나입니다.

 

이 종의 개체 수 증가와 서식지 복원은 지역 생태계 전반의 회복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9. 결론: 멸종 위기 생물 보호는 우리 모두의 책임

 

잭슨빌 동물원의 복원 활동은 작은 생명을 구하는 것을 넘어서 생태계 전체를 회복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푸에르토리코 크레스티드 두꺼비의 사례는 인간이 자연과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본보기입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이어져 더 많은 멸종 위기 생물들이 자연으로 돌아갈 수 있기를 기대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