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글

바다 색이 점점 어두워진다??

by 코스모스S2 2025. 6. 8.

짙은-바다-색
바다 색이 어두워지는 이유

 

영국 플리머스 대학의 연구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전 세계 해양의 약 20% 이상이 점점 더 어두워지고 있다. 이 현상은 '오션 다크닝(Ocean Darkening)'으로 불리며, 바다 표면에서 빛이 물 속 깊숙이 도달하지 못하는 상황을 의미한다. 이는 표층, 즉 '광달층'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데, 광달층은 전 세계 해양 생물의 90%가 서식하는 핵심 생태계로 지구의 건강한 생물지화학적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학술지 *글로벌 체인지 바이올로지(Global Change Biology)*에 실린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22년 사이 전 세계 해양의 약 21%가 어두워졌음을 밝혀냈다. 이는 단순한 자연 변동이 아니라 생태계 전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심각한 변화로 평가받고 있다.

 

✅ 왜 바닷물은 점점 어두워지는가?

 

오션 다크닝 현상의 원인으로는 조류 번식 패턴의 변화와 해수면 온도의 상승 등이 꼽힌다. 특히 연안 지역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이유는 영양물질이 풍부한 해수가 표면으로 상승하거나, 폭우로 인해 육지에서 농업 폐수와 토양 침전물이 유입되면서 플랑크톤의 과번식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기후 변화 역시 이 현상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몇 년간 전 세계적으로 더 강하고 빈번한 집중호우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 연안을 따라 플랑크톤 번식을 증가시키는 물질들이 바다로 흘러들어가게 만든다. 한편, 외해에서는 해수 표면의 온도 상승이 주요 요인으로 떠오르고 있다. 따뜻해진 바닷물이 플랑크톤 증식을 촉진하면서 결과적으로 태양빛이 바다 깊숙이 도달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지역은 어디인가?

 

이번 연구에 따르면 전체 해양의 9%, 이는 육지 면적으로 따지면 아프리카 대륙과 비슷한 크기,에서 빛이 투과되는 깊이가 50m 이상 줄어들었다고 한다. 그중에서도 100m 이상 감소를 기록한 지역이 약 2.6%에 달했다.

 

특히 광달층 깊이가 가장 크게 변화한 지역은 멕시코만류, 고위도 지역인 북극 및 남극과 같은 기후 변화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곳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발트해와 같은 폐쇄된 해역이나 연안에서도 오션 다크닝 현상이 두드러졌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오션 다크닝이 단순히 연안 지역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외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했다.

 

흥미롭게도, 모든 해역에서 색이 어두워진 것은 아니었다. 같은 기간 약 10%의 해역에서는 오히려 광투과성이 증가하며 밝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바다 환경이 매우 복잡하며, 해수의 투명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 해양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오션 다크닝이 해양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해선 아직 명확하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이 현상이 다양한 방식으로 해양 생물들에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플리머스 대학의 토마스 데이비스 부교수는 플랑크톤 증식 패턴 변화와 더불어 이러한 현상이 어떻게 해양 표층 색에 변화를 가져왔는지 설명하면서 '빛을 필요로 하는 생물들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 자체가 줄어들고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광달층은 대부분의 식물성 플랑크톤이 광합성을 통해 생존하고 번식하는 장소로, 먹이사슬의 기반이라 할 수 있다. 식물성 플랑크톤은 태양빛을 에너지로 사용하여 대기 중 산소의 약 절반을 만들어내고, 탄소를 흡수함으로써 지구 탄소 순환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